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통계그래픽
- figure-level
- 머신러닝
- 미드프로젝트
- 중복된 문자제거
- 상관계수분석
- 멋쟁이사자처럼
- 멋사AI스쿨
- ML기초
- AISCHOOL8기
- read_html
- pandas로 그래프
- matplotlib.pyplot
- 파이썬 그래프
- 배열 회전시키기
- 파이썬데이터타입
- 노인무임승차
- fromkeys
- 구글colab
- 핸즈온머신러닝
- ML
- 시각화
- 지하철적자원인
- seaborn
- Seaborn 튜토리얼
- AI SCHOOL
- axes-level
- AISCHOO8기
- 배열의 유사도
- RandomForest
- Today
- Total
목록공부 (23)
코린이 성장일기

오늘은 서울시에서 공개한 코로나19 발생동향을 가지고 분석 기초를 배웠다. 지난 미니 프로젝트에서 혼자 시각화해보려고 거의 복사 붙여넣기를 했었는데,, 뭐가 뭔지 몰랐다가 이제야 조금 원리를 알아가게 되었고, 좀 더 알아보고 싶었다. 시각화 라이브러리 사용의 시작 matplotlib.pyplot 왜 matplotlib.pyplot을 불러오는지 궁금했는데, matplotlib의 모듈이 꽤 많고, 거기서 우리가 시각화하기 좋은 모듈을 가져오는 것이었다. 💡 matplotlib의 모듈 matplotlib matplotlib.afm matplotlib.animation matplotlib.artist matplotlib.axes matplotlib.axis matplotlib.backend_bases matpl..

이번주는 여러가지 페이지를 수집하며 실습을 진행하였다. colab으로 대통령 연설문 수집을 마무리 짓고 새로운 실습이 시작되었다. 1. 주피터 노트북(Jupyter Notebook) 드디어 주피터 노트북으로 실습을 해 보았다. 옛날에는 IPython Notebook이었다고 한다. 그래서 확장자명이 .ipynb으로 일정하다. 노트북 이름이 왜 변경되었을까? : Jupyter가 지원하는 핵심언어인 Julia, Python, R 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더 많은 언어를 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 ipynb 확장자는 IPython 환경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다면, .py 확장자 파일은 어떻게 편집해야 할까? .py 파일을 편집할 때는 => 파이썬 내장 IDE, 주피터 Lab, 메모장, VI(강사님), ..

요즘 판다스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하고 분석기초 단계를 밟고 있다. 그 중에서 요즘 종종 쓰고 있는 데이터 선택에 용이한 loc, iloc에 대해서, 데이터 전처리에 유용한 map, applymap, apply에 대해서 간략히 공부한 내용을 적어보고자 한다. 아직 DataFrame이라는 개념이 익숙하지 않았는지, 헷갈리는 부분이었기에 골라봤다. Pandas. 이게 얼마나 편리한 도구인지 새삼 다시 느꼈다. 잘 활용하고 싶다. | loc[ ], iloc[ ] loc와 iloc는 데이터프레임에서 행이나 열을 선택할 때 사용됩니다. 이 속성은 DataFrame에서의 선택, 수정을 편리하게 합니다. 주요한 차이는 어떻게 행이나 열을 가져오냐는 것인데, 즉, 행과 열을 선택하는 방법 차이입니다. lo..

파이썬을 제대로 배운지는 어느새 2주차, 멋사를 시작한지는 어느새 3주차에 접어들었다. 빠르면 빠르고 느리면 느린 시간? 하루하루 수업량 따라가느라 벅차서 느린데, 언제 3주차가 되었디야,,,, 멋사에는 두 가지 팀이 존재한다. 으샤으샤팀하고 재잘재잘팀. 아직 으샤으샤팀은 구성되지 않았고, 어떻게 진행되는지 모르겠다. 재잘재잘팀과도 만난지 어느새 3주차가 되어간다. 한 주 힘들게 수업하고 만나면 위로가 되는 사람들. 그리고 함께 공부할 수 있어서 더 많이 배우고 응원이 된다. 이번주는 박조은 강사님과 함께 파이썬 판다스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는 것을 배웠다. 강사님 성함이 나랑 같아서 내적 친밀감이 많이 생겼달까.. 더 열심히 하고 싶어졌다. 어찌 되었든, 이번 주간의 배운 것을 돌아보고자 한다. 먼저,..

오늘은 박두진 강사님의 마지막 강의였다. 처음부터 어려운 수업이었는데 오후수업이 될수록 외계어를 듣는 것 같았다.. 그래도 강의는 정말 대 만족! ! 파이썬에 무지했던 나에게 큰 지도를 받은 느낌.. 그러나 하나하나 채워가야할 게 더 많은 것 같다;;;;; 오늘 수업내용 class 2탄 : getter, setter에 대해서, 메서드의 종류(인스턴스, 클래스, 스태틱), 클래스 설계(is a, has a 개념) 입출력 : 메모리에 있는 내용을 하드디스크에 저장하는 방법 여기서 하드디스크에서 메모리로 가져오는 방법도 있는데 모델링을 할 때에는 주로 저장하는 방법을 많이쓴다. 파이썬에서는 pickle을 사용해서 직렬화를 자동으로 하고, 입출력 속도도 빠르게 저장한다. 모듈 : 변수, 함수, 클래스를 하나의 ..

오늘은 어제의 함수보다 좀 더 복잡한 class에 대해서 배웠다. 오늘도 여전히 Today I learned를 적어보자. 클래스 Class 변수, 함수를 묶어서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 객체지향을 구현하는 문법 객체지향? 실제세계를 모델링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개발 방법론 옛날부터 프로그램을 개발하려면 혼자서 개발 어려움, 여러 명이 개발해야 함. 그러면 어떻게 하면 효율적으로 여러 명이 협업해서 개발할 수 있을까? > 객체지향 방법론 이를 구현한 문법이 class다. 파이썬은 완벽한 객체지향 언어라고 하기엔 아쉬움이 있다. java가 가장 완벽하고 깔끔한 객체지향 언어이다. 파이썬도 class를 활용해서 객체지향 방법론을 적용해서 개발할 수 있다. 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 클래스 사용법 클래스 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