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사 AI스쿨8기

[멋사AI스쿨8기] 미드프로젝트 1

JJouni 2023. 3. 2. 17:02

 

미드프로젝트 그 첫번째 순서. 2/9일 새로운 으샤팀이 발표되고 그 때부터 주제선정, EDA, 시각화, 발표준비까지 장장 2주를 꼬박 달렸다. 

나는 신혼여행기간이어서 첫 주간을 함께하지 못하고,, 죄송한 마음으로 양해를 구한 후 마지막 주간 열심히 달렸다. 하루에 3시간 정도 잔듯. . . 

 

첫 주간동안 팀명, 팀장 등을 정하고 어떤 주제로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할지 결정하는 시간이었다. 

돌아와서 작성된 계획서와 지난 회의들을 쭉 살펴보니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토론하신 것 같아보였다. 

 

* 주제

주제 1안 : 경제와 복지를 통해 본 슬기로운 실버생활

주제 2안 : MZ세대 창업 현황

주제 3안 : 노년층의 운동 필요성

 

고령화 사회를 주제로 하신 것 같았다. 이를 토대로 여러 역할을 나누고 진행하다보니 진행이 잘 안되는 난관에 봉착하였다. 직접 데이터셋을 모으고 하다보니 주제가 좀 포괄적이어서 어디서부터 어떤 분석을 진행해야할지 막막해졌기 때문이다. 그렇게 멘토님들을 소환하고, 여러차례 회의를 걸쳐 우리는 "노인 무임승차 찬반 논란에 대해 지하철 운영 적자 및 노인 연령 상향 논의를 직접 검증해보자"라는 주제를 잡았다.

 

이 주제 선정까지 꼬박 일주일+1일정도 소요된 것 같다. . . 기간 안에 할 수 있도록 주제를 잘 정하고 세부적인 역할을 같은 방향성 안에서 잡는 것이 쉽지 않았다.

그렇게 각자 역할과 담당 분석 파트를 정하고 분석에 돌입했다. 난관 뒤 난관. . . 

데이터가 많지 않아서 분석의 정확도를 확실시 못하고, 가설과 상관 없이 나와버리는 결과로 멘붕이 오고 , , , 다들 새벽까지 토론하고 서로의 EDA과정을 공유하며 결과를 향해 달려가고 있었다. . .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도입 : 고령화 추세는 증가하고, 노인에 대한 연령상향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지 않을까?

2. 지하철 운영 적자와 고령 인구수의 증가의 관계

Q1. 지하철 운영 적자와 고령 인구 수의 증가, 정말 연관이 있을까?

  • 19년도와 20년도, 무임비용이 감소할때 손실합계가 증가 추세를 볼 수 있으며
  • 20년도와 21년도, 노인의 인구는 증가하지만 손실합계 감소가 파악 가능합니다

Q2. 교통학회에 따르면 고령층 무임수송에 따른 손실이 20년 되레 줄어서 노인무임승차와 지하철 적자관계에 대해 반박한다. 검증해보자 

  • 코로나의 영향으로 연간승차자수와 노인무임승차자수가 모두 감소함
  • 연간승차자수의 감소로 운임손실액이 커진반면 노인무임비용은 노인무임승차자수가 감소함에 따라 줄어듦
  • 따라서 노인무임비용/운임손실액 비율이 작아진 것
  • 2020년의 경우를 제외하면 노인의 무임승차자수와 비용 그리고 비율 모두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므로 적자에 미치는 영향이 증대될 수 있음

 

3. 노인 연령 상향이 정말 지하철 적자에 유의미한 영향을 줄 수 있을까?

Q3. 노인 연령을 70세로 상향한다면 정말 지하철 적자를 유의미하게 메꿀 수 있을까(17-21년 데이터를 중심으로)?

  • 17~21년도 노인연령 상향 시 승객 1인당 운임손실은 4~8% 정도 감소함.
  • 연간 운임 손실의 경우, 노인 연령 상향 시 800억원 ~ 1000억원을 감소할 수 있음.
  • 이를 통해 노인 연령을 70세로 상향 시, 금액으로만 봤을 땐 큰 금액의 손실액을 줄일 수 있지만 그 비율은 전체 손실액대비 다소 미미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

Q4. 노인 연령을 70세로 상향한다면 향후 5년간 정말 지하철 적자를 유의미하게 메꿀 수 있을까(22-26년 데이터를 예측하여)?

  • 노인연령을 상향시키면 1인당 약 50원 정도의 운임손실 비용을 아낄 수 있음

Q4-1. 노인 연령 상향만이 답일까(22-26년 데이터를 예측하여)? - 기본료 인상과 비교하여

  • 왼쪽 : 기본운임 인상 전 1인당 운임손실, 평균운임 예측
  • 오른쪽 : 기본운임 300원 인상 후 1인당 운임손실, 평균운임 예측
  • 둘다 운임손실 증가, 평균운임 감소 → 고령화 영향
  • 그러나 비용에 노인연령 상향보다 큰 차이가 발생 → 기본운임을 300원 인상시키면 1인당 약 200원 가량의 운임손실 비용을 아낄 수 있음

  • 노인 연령을 상향시키는 것은 지하철 적자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음
  • 노인 연령 상향 없이 기본운임을 300 원만 인상시키는 것이 노인 연령을 상향보다 큰 적자를 메꿀 수 있음(1-2천억원 차이)
  • 인구 수, 기본요금만 고려할 경우, 지하철의 적자상황은 계속 지속될 것으로 보임
  • 지하철 적자상황은 단순히 노인 무임승차의 문제로 볼 수 없으며, 노인 무임승차 이 외에도 다른 요소를 함께 고려할 필요가 보임.
  • 그러나 고령화로 인해 인구수 변동상황은 먼 미래에 운임 손실 비용 차이의 폭을 더 크게 만들어 노인 연령 상향 문제가 더 붉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됨.

 

4.  지하철 운영 적자의 진짜 원인은?

손익계산서 계정 분석

  • 매출액, 매출원가, 매출총이익 → 매출액 대비 매출원가가 높은 상태, 매출총이익은 현재 손실 구간(지속)
  • 매출액 대비 운수사업수익 비중 → → 5년간 감소 추세, 운수사업 이외 위탁&수탁&부대사업을 통한 수익 증가 
  • 비용분석 → 매출액, 매출원가, 판매비와 관리비 → 매출원가가 너무 높아 판매비와 관리비의 영업이익 영향 미미함.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건비 등의 상승으로 판관비는 증가 추세
 
 
 

5. 지하철 적자만으로 노인연령 상향을 고려하면 안된다 ! (노인 무임승차의 사회적 이익을 중심으로)

이 부분을 해보려고 했으나,  , , 방향이 너무 늦게 정해졌고, 세부적인 항목들을 결정하고 자료를 모으기가 마감 일정을 못 맞출 것 같아 포기하였다. . . 대략 아래와 같은 내용이었다. 노인 연령을 상향한다면 돌아오게 될 불이익! >> 사회적 편익 감소

 

[ 현실 1 ]

노인들의 우울증 증가 추세

  • 무임승차로 인해 발생될 효과 : 외부활동을 하지 않는 것과 외부활동을 하는 것은 우울증세 경험확률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노인 무임승차제도 > 노인의 외부활동 증가 > 우울 증세 약화 > 우울증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감소
  • 감소가 예상되는 사회적 비용 : 우울증, 의료비
  • 자살 : 우울증으로 인한 조기 사망시 발생하는 미래소득 손실액, 생산성 감소액 등의 사회적 비용 추정
  • 근거 자료 : 국민건강 보험공단이 발표한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의 ‘정신건강문제의 사회경제적 영향 분석 및 관리방안 연구-우울증을 중심으로’란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우울증과 자살에 따른 사회경제적 비용은 2010년 9조 3,334억 원, 2011년 9조 5,247억 원, 2012년 10조 3,826억 원 등으로 매년 늘고 있다

[ 현실 2 ]

노인들의 교통사고 발생건수 증가(전체 인구는 최근 소폭 감소 추세)

  • 무임승차로 인해 발생되는 효과  : 제도 폐지시 승용차 이용 증가 > 교통사고 발생건수 증가
  • 무임승차 폐지 시 고령자 통행변화 : 변화없다(43.5%), 외부활동 줄인다(43.8%), 타 수단 이용(12.7%)

[ 현실 3 ]

경제활동 인구가 대부분 농림어업에 국한되어 있어 지방지역에 사는 노인이 대부분이다

  • 한국노동패널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60대 이상 노인 연령층은 타 연령층에 비 해 직접접촉을 통해 구직활동을 하는 비율이 매우 높은 것(32.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을 비춰 볼 때, 노인들에게 지하철 경로무임승차제도란 경제활동을 하는 데 있어 기본적인 교통수단을 제공한다는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 무임승차제도 > 교통비 부담 감소 > 경제활동 인구 증가 > 기초생활급여 예산 절감

팀장님께서 만들어주신 우리의 발표 PPT 표지부터 한 눈에 어떤 내용인지 확 들어온다.

 

 

마지막으로 회고해보면, ,, , 

1. 주제 선정이 더 세부적으로 해야겠다. 생각보다 한 주제에도 데이터를 어떻게 분석하느냐에 따라 보여줄 수 있는 게 많다.

2. github에 올려서 데이터 불러오는 방법을 배웠다. 승민님 짱

3. 내가 맡은 부분에 대해 정확한 계산, 적합한 코딩, 보기 좋은 시각화를 위해서는 통계, 수학, 코딩, 시각화 공부를 꾸준히 해나가야겠다. 그래도 덕분에 전처리하고 시각화는 어떤 식으로 할지, 범례 등의 디테일한 부분까지 멘토님들의 피드백을 받아서 성장한 시간이었다.

4. 마지막에 5번 부분을 다같이 머리싸매며 고민하고, 담당하신 상빈님께서 정말 3일을 밤새워가며 해결해보고자 하셨는데 결국 우리는 그 파트를 지우고 발표해야 했다. . . 마음이 아팠다. .. 어떻게 하면 분석을 방향성에 맞추어 할 수 있을지, 또 듣는 입장에 맞추어 발표를 준비하는 것, 이를 위해 의견을 조율하는 것 등을 배울 수 있었다. 큰 실패가 큰 성장돌이 될 것 같다.

5. 정말 많이 배운 시간! 

 

전우애가 생긴 핸들이 멀쩡한 8톤 트럭, 8조! 

두 주간 정말 고생 많았습니다! 덕분에 잘 해냈습니다:))

 

 

자세한 결과물 확인

https://www.notion.so/likelion-aischool/Handle-8t-Truck-7ef0a6ce5b6547deb190898de10174e6